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4)
(개인)정보보호와 EGG 경영과의 관계 최근 정보보호와 ESG 경영과의 관계에 대해 자료 조사를 할 일이 있었고 관련하여 간략히 정리해 두려고 한다. 가장 아쉬운 건 ESG 공시, 평가 기준을 공개하고 있는 기관들이 자사 허락 없이는 기준을 인용, 공개 등을 못하게 하고 있어 자료 작성에 제약이 많다는 점이었고, 그 외에도 평가 상세 지표를 공개하지 않아 상세한 등급 산정 공식을 추측하기 어려운 점도 걸림돌이었다. 인터넷에 ESG 경영과 (개인)정보보호와 관련이 있다는 글을 많이 볼 수 있지만 막상 읽어보면 왜/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포함한 글을 읽어볼 순 없었다. 내가 내린 결론은 ESG 관련 정보를 공시하고 ESG 경영 정도를 평가하는 기준의 사회 영역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사고가 발생하거나 관련..
산업보안 정보도서관 산업보안 관련 자료를 많이 가지고 있는 곳(특히 교육) https://www.is-portal.net/home 산업보안 정보도서관 국가핵심기술 제도 안내, 산업보안 교육, 산업보안 온라인교육, 산업기술보호 지원, 정보마당 등 안내 www.is-portal.net
[자료] 중소기업 서비스 개발·운영 환경 주요 보안 취약 사례별 대응방안 중소기업 정보보호 자문 시 참고할 만한 자료임(출처: https://www.boho.or.kr/kr/bbs/view.do?bbsId=B0000127&pageIndex=1&nttId=71245&menuNo=205021&fbclid=IwAR0TVy5cblhEdGVbCvJJy3UyRJPX6yZnu1ca9GD8yeGkdCFd8p5Zvj-_U3s)
개인정보 재동의 사례 개인정보보호법에 근거해 동의를 받은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재동의를 받아야 한다. 재동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면 여태껏 재동의를 해본 적 없다는 분들이 많이 계셔 재동의 사례를 정리해 본다. 서비스 이용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 동의가 아니라면 광고성 정보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어 고객에게 재동의 요청 메시지를 보내지 말고 서비스 접근 시 자연스럽게 재동의 필요함을 노출해주는게 좋겠다.제15조(개인정보의 수집ㆍ이용)  ② 개인정보처리자는 제1항제1호에 따른 동의를 받을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보주체에게 알려야 한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이를 알리고 동의를 받아야 한다. 1. 개인정보의 수집ㆍ이용 목적2. 수집하려는 개인정보의 항목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4..
[자료] 창업초기기업을 위한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오래된 자료긴 하지만 중소기업 정보보호 자문 시 참고할 만한 자료임(출처: https://www.kisa.or.kr/402/form?postSeq=1754&lang_type=KO&page=#fnPostAttachDownload)
(기사) 중국 개인정보보호법 개인정보 해외이전 절차 https://www.lawtimes.co.kr/Lawyter/192641
(기사)주요 개인정보 유출 사고 과징금 주요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한 과징금 부과 현황이 정리된 기사https://www.dailysecu.com/news/articleView.html?idxno=150423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부과된 과징금액...실제 납부비용은 50%도 안돼 - 데일리시큐개인정보보호위원회 의결한 주요 개인정보 유출사건에 대한 과징금 감면액이 78억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산남구을)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개인www.dailysecu.com
위메프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과징금 부과처분 취소 청구 관련 판결(2022두68923) 2018년에 위메프에서 일어난 개인정보 유출사고에 관한 과징금 부과처분 취소 청구 소송이 대법원에서 과징금 금액이 과하기 때문에 부과를 취소한다는 결론이 남. 과징금 산정 범위에 대한 (비교적) 구체적인 해석이 담겼다는데 의의가 있음 1) 과징금은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의 성격과 함께 위반행위에 따르는 불법적인 경제적 이익을 박탈하기 위한 부당이득 환수로서의 성격도 가지고, 이는 구 정보통신망법 제64조의3 제1항 각 호에서 정한 행위에 대하여 부과하는 과징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 이 사건과 같이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개인정보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음으로 인해 매출액이 증대되는 경우를 상정하기 어렵다. 구 과징금 부과기준 제4조 제2항 또한 위반행위로 인하여 직접 또..